류태영 박사

금강산

mose 2008. 10. 14. 09:45
요약
태백산맥 북부 강원도(북한) 금강군·고성군·통천군에 걸쳐 광범위하게 펼쳐진 산.
위치 강원(북한) 금강군, 고성군, 통천군
높이 1,638m
주봉우리 비로봉
문화재 표훈사·보덕암·아미타여래좌상(묘길상)·마애삼존불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금강산 / 강원 고성군 현내면.

 

동서길이 약 40km, 남북길이 약 60km, 면적은 약 530㎢이다.

 최고봉인 비로봉(1,638m)을 중심으로 북쪽에는 오봉산·옥녀봉·상등봉·선창산·금수봉,

서쪽에는 영랑봉·용허봉(룡허봉), 남쪽에는 월출봉·일출봉·차일봉·백마봉,

동쪽에는 세존봉 등이 솟아 있다. 1952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전에는 회양()·통천()·고성()·인제()의 4개군에 걸쳐 있었다.

 

신생대 제3기 중신세 이후에 진행된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형성되었으며, 화강편마암이 노출된 신금강()의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조립질()의 흑운모 화강암과 반상() 화강암으로 형성되어 있어 절리가 발달되고 풍화침식이 쉽다.
 
남북으로 뻗은 대단층선을 따라 지층이 단락()하여 기복이 천수백m에 달하는 단층지괴를 형성함으로써 경관의 골격이 구성되었다.

화강암체가 식어서 굳어질 때 생긴 무수한 수직·경사·판상·궁융상 틈결이 오랜 세월 풍화·삭박 작용으로 다종다양한 절리가 조밀하게 진행되어, 1만 2000봉이라 일컫는 기묘한 봉우리를 비롯한 천태만상의 기암괴석을 이루고, 거대한 암괴()·암판() 등이 변화무쌍한 계곡을 이룬다. 수많은 계곡 곳곳에는 폭포·소·여울을 이루는 맑은 물이 흐른다.

 

눈·비가 많은 지역으로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서쪽은 7월,

동쪽은 8월에 비가 집중적으로 오며,

겨울에는 눈이 2~3m씩 내린다.

 

따라서 여행은 우기가 시작되기 전인 4~5월이나,

우기가 끝나는 9월 중순이나 10월이 적기이다.

동해안에 근접해 있어 짙은 안개가 자주 끼며, 산악기후로 일기가 고르지 못해 갑자기 바람이 불거나 순간적으로 폭우가 내리기도 한다.

단풍은 설악산보다 빠른 9월 하순부터 시작된다.

 

금강산에는 동해로 흘러드는 남강·온정천·천불천·선창천과

서해로 흘러드는 금강천·동금강천 등의 하천이 있다.

각양각색의 크고 작은 폭포들이 많은데 그중 4대 폭포로 이름난 구룡연계곡의 구룡폭포 비봉폭포, 구성계곡의 옥영폭포, 석문동계곡의 십이폭포 등이 있다.

관동팔경의 하나로 이름난 삼일포를 비롯하여 영랑호·감호 등 자연호수들이 있다.

 

식물분포 해발고도 300~400m 아래에는 소나무림,

해발 300~800m에는 소나무·참나무의 혼성림,

 800m 위로는 활엽수림을 이룬다. 940여 종의 식물이 있고 그중 880여 종은 꽃피는 식물이며,

세계적으로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1속 1종인 금강국수나무·금강초롱꽃과 한국 특산식물인 금강봄맞이꽃·만리화 등이 있다.

 또한 칼새목·딱따구리목·도요새목 등 20여 목의 새와 금강모치·열목어·어름치 등 희귀보호어종이 산다.

곳곳에 자연미와 인공미의 조화를 보이는 유서 깊은 사찰과 석탑·불상·불당()·암자 등이 많다

. 금강군 일대에는 고인돌 16기, 만폭동·옥류동에는 바위글씨가 있다.

 

계절에 따른 아름다움이 각각 달라,

 봄에는 금강산,

여름에는 봉래산(),

가을에는 풍악산(),

겨울에는 개골산()이라고 한다.

 

내금강·외금강·신금강·해금강의 4개 지역으로 구분되는데 최고봉인 비로봉이 솟아 있는 중앙 연봉을 경계로

서쪽은 내금강,

동쪽은 외금강, 외금강의

남쪽 계곡은 신금강, 동단의 해안부는 해금강이다.

 

1998년 9월부터 남북 분단 50여 년 만에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었다.

동해항에서 북한의 장전항까지는 배로 분단선을 넘고 외금강 온정리에서 관광이 시작된다.

구룡연코스와 만물상코스, 삼일포·해금강코스가 개방되어 있다.

 

 

 계절에 따른 금강산의 이름의 유래

showFlash('count_button.swf', 'kinUp_60101_644398_1_3', 111, 58, 437, 437, 's', true, true, true);

금강산은 참으로 이름이 많다. 산세가 수려하고 물도 맑은데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갖가지 이름이 생겨난 것이다.

 그에 따른이름이 무려 9가지나 된다. 금강(金剛), 봉래(蓬萊), 풍악(楓嶽), 개골(皆骨), 열반(涅槃), 기달, 선산(仙山), 중향성(衆香城), 상악(霜嶽)등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문헌기록상 가장 오래된것은
《삼국사기》에서 개골산또는 상악산이라고 한 것과《삼국유사》에서 진표(眞表)율사의 행적을 말하면서 풍악산이라고 한 것이다.

금강, 봉래, 풍악, 개골이라는 이름은 각기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불리는 이름들이다

.상악 멀리서 보면 희뿌연 암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가 서리발 같다 해서, 열반.중향성은 불교과 관련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중향성은 불교의『마하반야경』에서 나오는 것으로, 고대 인도어를 한자로 음역한 것이다. 이는 '담무갈보살이 거주하는 곳'이란 뜻으로 남효온의'유금강산기'에 따르면 신라법흥왕 이후부터 부른 이름이라 한다.

기달은 불경인 화엄경에서 유래된 것으로, '바다에 떠있는 섬' 이란 뜻을 갖고 있다.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 말까지는 주로 개골과 풍악이란 이름이 많이 쓰였고,

금강은 고려 중엽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봄(금강산)
봄 산을 금강산이라고 한다. 특히 봄에 아침이슬이 태양이 떠오르면서 빛나는 모습이 마치 7대보석중에 하나인 금강석과 같다하여 금강산이라 불리고,

금강이라 함은 금속처럼 빛나고 단단한 것을 뜻하는데, 고대인도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불교 경전인『화엄경』에는'이 세상의 팔금강중 하나가 해동조선에 출현했고, 그곳에는 담무갈보살이 머문다'고 하는 기록이 나오는데, 오늘날의 금강산이란 이름은 여기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한다.

여름(봉래산)
계곡과 봉우리에 짙은 녹음이 깔려 신록의 경치를 볼 수 있다해서 여름철에 봉래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진다.

또 봉래라는 이름에는 신선사상이 결부 되어있는데 도교에서전해오는 중국의전설에 나오는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지목되게 됐다.

조선중기에는 금강산을 봉래산으로, 방장산(方丈山)은 지리산으로, 영주산(瀛州山)은 한라산이라 하여 삼신산에 비유하여 불렀다.
16세기 시인이었던 봉래양서언이 자신의 호를 봉래라고 하여 더욱 유명해진 이름이다.

가을(풍악산)
가을에 금강산에 가게 되면 정말 말이 필요 없다. 사방팔방 어디를 둘러보아도
산이 붉게 불타느라 정신이 없고 바위와 소나무 그리고 단풍나무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금강산의 색채미를 대변한다.
풍악산은 산이 붉게 불탄다 하여 풍악산이라 불린다.

겨울(개골산)
개골산은 봄, 여름, 가을에 달려있던 나뭇잎들이 다떨어지고 금강산의 바위를 구석구석 다 보여준다고 해서 개골산이라고 불린다고 한다.

 금강산의 여러 이름중 가장 오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또 개골산은 다른말로 눈덮인 산이라는 뜻으로 설봉산(雪峰山)이라 불린다.
금강산의 제대로 된 산세를 볼려고 하면 겨울에 가라고 말하고 싶다.(보통기온 영하10도이하이다)

 

 

 
























 
♬ 그리운 금강산 ♬
홍혜경, 플라시도 도밍고의 "그리운 금강산"

 
 
 
인물사진
최영섭  작곡가
출생  1929년 11월 28일 (인천광역시)
학력  비엔나국립음악대학대학원
수상  2001년 서울특별시 문화상
경력  서울오페라단 및 아스트라 꼬레아 오페라단 고문
우리가곡의 날 제정 추진위원회 회장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수석부회장

* 그리운 금강산 _ 백남옥

그리운*금강산 한상억 작시 / 최영섭 작곡 누구의 주제런가 맑고 고운 산 그리운 만이천봉 말은 없어도 이제야 자유만민 옷깃 여미며 그 이름 다시 부를 우리 금강산 수수 만년 아름다운 산 못가본지 그 몇해 오늘에야 찾을 날 왔나 금강산은 부른다. 비로봉 그 봉우리 짓밟힌 자리 흰 구름 솔바람도 무심히 가나 발아래 산해만리 보이지 마라 우리 다 맺힌 원한 풀릴 때까지 수수 만년 아름다운 산 못가본지 그 몇해 오늘에야 찾을 날 왔나 금강산은 부른다. ..................*..*................... 주제런가 :'주재(主宰)'를 인쇄를 잘못 한 것이라 함. 중심이 되어 맡아 처리함. '-런가'는 '던가'의 예스러운 표현으로'이다', '아니다' 의 뒤에 쓰임. [련가]로 발음하지 않도록. 여미며 : 바로잡아 합쳐서 단정하게 한다는 뜻으로 '여밀며'로 하지 않도록. 수수(數數) : 아주 여러 못가본지 그 몇해 : 더럽힌지 몇몇 해

홍진표-그리운 금강산

 

누구의 주제런가 맑고 고운산
그리운 만이천봉
말은 없어도 이제야 자유만민
옷깃여미며
그이름 다시부를 우리 금강산
수수만년 아름다운 산
못가본지 몇해 오늘에야 찾을날 왔나
금강산은 부른다

비로봉 그봉우리 짓밟힌 자리 흰구름
솔바람도 무심히 가나 발아래 산해만리
보이지 마라
우리 다 맺힌 원한 풀릴때까지
수수만년 아름다운 산
금강산은 부른다